개요
- 폰빌레브란트병(VWD)은 이질적인 임상 증후와 유전적 배경을 가진 가장 흔한 유전성 출혈 장애입니다. VWD의 주요 특징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라고 명명된 단백질의 결핍 또는 기능 장애이고, 혈소판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1차 항상성 손상을 초래합니다. 폰 빌레브란트 인자는 혈관 손상 시 혈소판 유착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단백질 인자 VIII의 저장고 및 안정제 역할을합니다. 이 단백질이 없을 경우 정성적 혈소판 장애를 유발합니다. 순환성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양에 따라 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상당한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 Igenomix 폰빌레브란트병 정밀 패널은 궁극적으로 질병의 개선된 관리 및 예후로 이어지는 재발성 출혈의 감별 진단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직접적인 진단을 내리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genomix 폰빌레브란트병 정밀 패널은 관련 유전자의 스펙트럼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사용하여 이러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참고 문헌
Veyradier, A., Boisseau, P., Fressinaud, E., Caron, C., Ternisien, C., & Giraud, M. et al. (2016). A Laboratory Phenotype/Genotype Correlation of 1167 French Patients From 670 Families With von Willebrand Disease. Medicine, 95(11), e3038. doi: 10.1097/md.0000000000003038
Sharma, R., & Flood, V. H. (2017).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on Willebrand disease. Blood, 130(22), 2386–2391. https://doi.org/10.1182/blood-2017-05-782029
Ng, C. J., & Di Paola, J. (2018). von Willebrand Disease: Diagnostic Strategies and Treatment Options.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65(3), 527–541. https://doi.org/10.1016/j.pcl.2018.02.004
Swami, A., & Kaur, V. (2017). von Willebrand Disease: A Concise Review and Update for the Practicing Physician. Clinical and applied thrombosis/hemostasis :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Clinical and Applied Thrombosis/Hemostasis, 23(8), 900–910. https://doi.org/10.1177/1076029616675969
Nichols, W. L., Hultin, M. B., James, A. H., Manco-Johnson, M. J., Montgomery, R. R., Ortel, T. L., Rick, M. E., Sadler, J. E., Weinstein, M., & Yawn, B. P. (2008). von Willebrand disease (VWD): evidence-based diagnosis and management guidelines,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Expert Panel report (USA). Haemophilia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World Federation of Hemophilia, 14(2), 171–232. https://doi.org/10.1111/j.1365-2516.2007.01643.x
Goodeve, A. (2016). Diagnosing von Willebrand disease: genetic analysis. Hematology, 2016(1), 678-682. doi: 10.1182/asheducation-2016.1.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