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Brazil
  • Canada
  • Europe
  • India
  • Italy
  • Japan
  • Korea
  • Latam
  • Spain
  • Taiwan
  • The Middle East
  • Turkey
  • United Kingdom
  • United States
  • 언어
  • 1833-5784 문의
  • 1833-5784 문의
  • Part of brands: |
KoreaKorea
  • Part of brands: |
  • 예비맘
    • 검사안내
    • ERA 검사
    • EMMA 검사
    • ALICE 검사
    • EndomeTRIO 검사
    • PGS/PGT-A 검사
    • PGT-M 검사
    • CGT 검사
  • 의료인
    • 검사안내
    • ERA 검사
    • EMMA 검사
    • ALICE 검사
    • EndomeTRIO 검사
    • PGS/PGT-A 검사
    • PGT-M 검사
    • CGT 검사
  • 난임 유형별 맞춤검사
  • ERA 검사
  • 유전체 정밀진단
  • ACADEMY
    • Igenomix APAC 웹비나
    • 한국 웹비나
  • 블로그
Genomics Precision Diagnostic > Neurology > 병적 놀람증 정밀 패널

병적 놀람증(Hyperekplexia) 정밀 패널

뻣뻣한 아기 증후군 또는 놀람 질환으로도 알려진 병적 놀람증은 글리신 수용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는 희귀한 유전성 신경 질환입니다. 
개요
징후
임상적 유용성
유전자와 질병
검사 과정
참고 문헌

개요

  • 뻣뻣한 아기 증후군 또는 놀람 질환으로도 알려진 병적 놀람증은 글리신 수용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는 희귀한 유전성 신경 질환입니다. 이 장애의 세 가지 특징은 깨어있는 동안의 일반적인 경직, 야행성 근간 대성 및 과장된 놀람 반사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종종 잠에서 깨어 났을 때 긴장 항진 또는 긴장성 경련과 함께 출생 시부터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 호흡을 방해하여 돌이킬 수 없는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병적 놀람증은 일반적으로 형태 간질로 잘못 진단됩니다. 그리고 대부분 상염색체 우성 형질로 유전되지만 상염색체 열성 또는 X 연관 유전을 따를 수도 있습니다.
  • Igenomix 병적 놀람증 정밀 패널은 궁극적으로 질병의 개선된 관리 및 예후로 이어지는 발작의 감별 진단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직접적인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genomix 병적 놀람증 정밀 패널은 관련 유전자의 스펙트럼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사용하여 이러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징후

  • Igenomix 병적 놀람증 정밀 패널은 다음과 같은 증상의 유무에 따라 임상적 의심 또는 진단 소견이 있는 환자에게 필요합니다.
    • 놀람 반응과 함께 머리가 활 모양으로 구부러짐
    • 놀람 반응 후 갑작스러운 움직임
    • 심한 근육 긴장
    • 움직임이 없거나 정상보다 느림
    • 과잉 반사
    • 간헐적 무호흡
    • 불안정한 보행

임상적 유용성

이 패널의 임상적 유용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증상이 있는 환자의 정확한 임상 진단을 위한 유전적/분자적 진단
  • 클로나제팜 등의 항간질제를 사용한 약리 요법의 형태로 다분야 팀과 함께 조기 치료 시작
  • 유전 방식에 따른 무증상 가족 구성원의 위험 평가 및 유전 상담
  • 유전자형-표현형 상관 관계 설명의 개선

유전자와 질병

검사 과정

참고 문헌

See scientific referrals

Andrew, M., & Owen, M. (1997). Hyperekplexia: abnormal startle response due to glycine receptor mutation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0(2), 106-108. doi: 10.1192/bjp.170.2.106 

Bakker, M., van Dijk, J., van den Maagdenberg, A., & Tijssen, M. (2006). Startle syndromes. The Lancet Neurology, 5(6), 513-524. doi: 10.1016/s1474-4422(06)70470-7 

Zhou, L., Chillag, K., & Nigro, M. (2002). Hyperekplexia: a treatable neurogenetic disease. Brain And Development, 24(7), 669-674. doi: 10.1016/s0387-7604(02)00095-5 

Ryan, S. (1994). Hyperekplexia Associated With Apnea and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48(5), 540. doi: 10.1001/archpedi.1994.02170050098025 

Mineyko, A., Whiting, S., & Graham, G. E. (2011). Hyperekplexia: treatment of a severe phenotyp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Canad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Le journal canadien des sciences neurologiques, 38(3), 411–416. https://doi.org/10.1017/s0317167100011793 

Thomas, R. H., Chung, S. K., Wood, S. E., Cushion, T. D., Drew, C. J., Hammond, C. L., Vanbellinghen, J. F., Mullins, J. G., & Rees, M. I. (2013).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hyperekplexia: apnoeas, learning difficulties and speech delay. Brain : a journal of neurology, 136(Pt 10), 3085–3095. https://doi.org/10.1093/brain/awt207 

descargar

상세 설명

다운로드

브로셔

다운로드

예비맘 사이트

검사안내
고충유형

의료인 사이트

검사안내
과학세미나

기업 정보

아이지노믹스 소개
글로벌 지점
채용 정보

블로그
뉴스

아이지노믹스 코리아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수로 767, 분당수지 U-Tower A동 3층 316호 (우편번호: 16827)

토~일, 공휴일 휴무,영업 시간 : 9시 ~ 18시

1833-5784
문의

  • Brazil
  • Canada
  • Europe
  • India
  • Italy
  • Japan
  • Korea
  • Latam
  • Spain
  • Taiwan
  • The Middle East
  • Turkey
  • United Kingdom
  • United States
언어

[2024] © Igenomix 개인 정보 보호 정책쿠키 정책

문의


  • reCAPTCHA demo: Simple page

  • 예비맘
    • 검사안내
    • ERA 검사
    • EMMA 검사
    • ALICE 검사
    • EndomeTRIO 검사
    • PGS/PGT-A 검사
    • PGT-M 검사
    • CGT 검사
  • 의료인
    • 검사안내
    • ERA 검사
    • EMMA 검사
    • ALICE 검사
    • EndomeTRIO 검사
    • PGS/PGT-A 검사
    • PGT-M 검사
    • CGT 검사
  • 난임 유형별 맞춤검사
  • ERA 검사
  • 유전체 정밀진단
  • ACADEMY
    • Igenomix APAC 웹비나
    • 한국 웹비나
  • 블로그
  •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