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알츠하이머병(AD)은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고령화 인구의 질병율 및 사망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임상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경미한 인지 장애로 알려진 미묘하고 잘 인식되지 않는 기억 장애로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더 심각해져 결국 사람을 무력화시키는 치매입니다. 다른 소견에는 혼란, 방향 감각 상실, 언어 장애, 초조 등이 있습니다. 모든 AD의 95%는 일반적으로 60-65세 이상에서 늦게 발병하지만 5%는 조기에 발병합니다. 모든 AD의 약 25%는 가족력이고 75%는 가족력이 아닙니다. AD의 가족력 형태는 유전적 소인이 강합니다. AD의 발병기전은 불분명하지만, 모든 형태의 AD는 아밀로이드 베타 펩타이드의 과잉 생산 및 감소된 제거율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AD의 가족력 형태의 유전 방식은 상염색체 우성 및 열성 패턴입니다.
- Igenomix 알츠하이머병 정밀 패널은 궁극적으로 질병의 개선된 관리 및 예후로 이어지는 치매의 정확한 진단 및 감별 진단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genomix 알츠하이머병 정밀 패널은 관련 유전자의 스펙트럼과 이들 유전자의 높은 또는 중간 침투력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사용하여 이러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참고 문헌
Bird TD. Alzheimer Disease Overview. 1998 Oct 23 [Updated 2018 Dec 20]. In: Adam MP, Ardinger HH, Pagon RA, et al., editors. GeneReviews® [Internet].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1993-2021.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1161/
Kuller, L., & Lopez, O. (2011).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A new direction. The 2010 Jay L. Foster Memorial Lecture. Alzheimer’s & Dementia, 7(5), 540-550. doi: 10.1016/j.jalz.2011.05.901
Montine, T., Phelps, C., Beach, T., Bigio, E., Cairns, N., & Dickson, D. et al. (2011). National Institute on Aging–Alzheimer’s Association guidelines for the neuropathologic assessment of Alzheimer’s disease: a practical approach. Acta Neuropathologica, 123(1), 1-11. doi: 10.1007/s00401-011-0910-3
Reitz C. (2015). Genetic diagnosis and prognosis of Alzheimer’s diseas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Expert review of molecular diagnostics, 15(3), 339–348. https://doi.org/10.1586/14737159.2015.1002469
Goldman, J. S., & Van Deerlin, V. M. (2018). Alzheimer’s Disease and Frontotemporal Dementia: The Current State of Genetics and Genetic Testing Since the Advent of Next-Generation Sequencing. Molecular diagnosis & therapy, 22(5), 505–513. https://doi.org/10.1007/s40291-018-0347-7
Sancesario, G. M., & Bernardini, S. (2018). Alzheimer’s disease in the omics era. Clinical biochemistry, 59, 9–16. https://doi.org/10.1016/j.clinbiochem.2018.06.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