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 실조증후군은 진행성 신경 장애, 균형 변화, 상기도감염에 대한 감수성, 장기 성숙 장애, 안구 및 피부 모세혈관 확장증 및 악성 소인이 있는 가변성의 면역결핍이 특징인 복합 다계통 장애입니다. 악성 종양이 뇌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림프계(즉, 림프종)와 혈액 형성 기관(즉, 백혈병)과 관련됩니다.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 실조증후군은 DNA 복구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B와 T 세포의 1차 면역결핍입니다. 이 질병은 4개의 보완 그룹(A, C, D, E)의 존재로 알 수 있듯이 매우 이질적인 증후와 유전적 배경을 보입니다. 또한, 가변적인 속도로 진행되어 성인기 초기에 종종 사망으로 이어집니다.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 실조증후군은 상염색체 열성 방식으로 유전됩니다.
- Igenomix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 실조증후군 정밀 패널은 궁극적으로 질병의 개선된 관리 및 예후로 이어지는 감별 진단뿐만 아니라 정확한 진단용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genomix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 실조증후군 정밀 패널은 관련 유전자의 스펙트럼과 이들 유전자의 높은 또는 중간 침투력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사용하여 이러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참고 문헌
Soresina, A., Meini, A., Lougaris, V., Cattaneo, G., Pellegrino, S., & Piane, M. et al. (2008). Different Clinical and Immunological Presentation of Ataxia-Telangiectasia within the Same Family. Neuropediatrics, 39(1), 43-45. doi: 10.1055/s-2008-1076736
McGrath-Morrow, S. A., Ndeh, R., Helmin, K. A., Khuder, B., Rothblum-Oviatt, C., Collaco, J. M., Wright, J., Reyfman, P. A., Lederman, H. M., & Singer, B. D. (2020). DNA methylation and gene expression signatures are associated with ataxia-telangiectasia phenotype. Scientific reports, 10(1), 7479. https://doi.org/10.1038/s41598-020-64514-2
van Os, N., Chessa, L., Weemaes, C., van Deuren, M., Fiévet, A., van Gaalen, J., Mahlaoui, N., Roeleveld, N., Schrader, C., Schindler, D., Taylor, A., Van de Warrenburg, B., Dörk, T., & Willemsen, M. (2019).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ataxia telangiectasia patients with ATM c.3576G>A and c.8147T>C mutations. Journal of medical genetics, 56(5), 308–316. https://doi.org/10.1136/jmedgenet-2018-105635
Verhagen, M. (2011). 1FC3.3 The amounts of ATM protein and residual kinase activity predict the phenotype in Ataxia-Telangiectasia: A genotype – phenotype study. European Journal Of Paediatric Neurology, 15, S15. doi: 10.1016/s1090-3798(11)70055-1
Liu, X., Wang, T., Huang, X., Zhou, H., Luan, X., & Shen, J. et al. (2016). Novel ATM mutations with ataxia-telangiectasia. Neuroscience Letters, 611, 112-115. doi: 10.1016/j.neulet.2015.1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