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간질은 재발성 비유발 발작이 특징인 중추 신경계 질환으로, 신체의 일부(부분적) 또는 전신(일반적)에 발생할 수 있는 짧은 비자발적 움직임으로, 의식 상실과 장 또는 방광 기능의 통제 상실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명의 사람들이 간질로 고생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신경 질환 중 하나입니다. 간질은 신경 생물학적,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인 결과를 발생시키는 지속적인 소인을 수반합니다. 간질에 대한 여러 위험 요소가 존재하며, 이 중 하나는 강력한 유전적 소인입니다. 간질 장애의 세 가지 주요 부류는 유전적 일반화, 국소 및 뇌병증성 간질이며, 각 부류 내에 몇 가지 특정 장애가 있습니다. 간질 유전학은 학문적 추구에서 분자 진단과 계층화된 의학에 기초한 임상 분야로 옮겨 가고 있습니다. 간질로 이어지는 돌연변이는 이온 통로,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세포 에너지 생산의 분자 캐스케이드 및 신경세포 흥분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서 확인되었습니다. 유전의 방식은 상염색체 우성과 열성에서 미토콘드리아까지 다양합니다.
- Igenomix 간질 정밀 패널은 궁극적으로 질병의 개선된 관리 및 예후로 이어지는 재발성 발작의 감별 진단뿐만 아니라 정확하고 직접적인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genomix 간질 정밀 패널은 관련 유전자의 스펙트럼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사용하여 이러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의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합니다.
참고 문헌
Symonds, J. D., Zuberi, S. M., & Johnson, M. R. (2017). Advances in epilepsy gene discovery and implications for epilepsy diagnosis and treatment. Currentopinion in neurology, 30(2), 193–199. https://doi.org/10.1097/WCO.0000000000000433
Thijs, R. D., Surges, R., O’Brien, T. J., & Sander, J. W. (2019). Epilepsy in adults. Lancet (London, England), 393(10172), 689–701. https://doi.org/10.1016/S0140-6736(18)32596-0
Hebbar, M., &Mefford, H. C. (2020). Recent advances in epilepsy genomics and genetic testing. F1000Research, 9, F1000 Faculty Rev-185. https://doi.org/10.12688/f1000research.21366.1
Myers, C. T., &Mefford, H. C. (2015). Advancing epilepsy genetics in the genomic era. Genome medicine, 7(1), 91. https://doi.org/10.1186/s13073-015-0214-7
Weber, Y. G., Biskup, S., Helbig, K. L., Von Spiczak, S., &Lerche, H. (2017). The role of genetic testing in epilepsy diagnosis and management. Expert review of molecular diagnostics, 17(8), 739–750. https://doi.org/10.1080/14737159.2017.1335598
Gurnett, C. A., & Hedera, P. (2007). New ideas in epilepsy genetics: novel epilepsy genes, copy number alterations, and gene regulation. Archives of neurology, 64(3), 324–328. https://doi.org/10.1001/archneur.64.3.324
Stafstrom, C. E., &Tempel, B. L. (2000). Epilepsy genes: the link between molecular dysfunction and pathophysiology.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6(4), 281–292. https://doi.org/10.1002/1098-2779(2000)6:4<281::AID-MRDD7>3.0.CO;2-9
Goodkin, H. (2009). The founding of the American Epilepsy Society: 1936. Epilepsia, 50(3), 566-570. doi: 10.1111/j.1528-1167.2008.01910.x
Berg, A., Berkovic, S., Brodie, M., Buchhalter, J., Cross, J., & van Emde Boas, W. et al. (2010). Revised terminology and concepts for organization of seizures and epilepsies: Report of the ILAE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2005-2009. Epilepsia, 51(4), 676-685. doi: 10.1111/j.1528-1167.2010.02522.x